고양이의 피부는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거울입니다.
털 속에 가려져 있지만, 피부 트러블이나 감염은 매우 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특히 반복적인 긁기, 비듬, 발진, 탈모가 보인다면
조기에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양이에게 자주 발생하는 피부 질환의 종류와 대처법을 정리해 알려드립니다.
1. 고양이 피부 질환, 왜 잘 생기나요?
고양이는 자주 그루밍(셀프 손질)을 하기 때문에
피부에 이상이 생겨도 쉽게 지나치기 쉬운 동물입니다.
@ 피부 질환의 주요 원인
- 알레르기 (음식, 먼지, 세제, 벼룩 등)
- 외부 기생충 (벼룩, 진드기, 이)
- 곰팡이/세균 감염
- 면역 이상 질환
- 호르몬 문제 (갑상선, 당뇨 등)
⚠️ 단순히 “가려워하는 행동”이 아니라 피부 속 건강 이상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2. 고양이 피부 질환 주요 증상
아래와 같은 증상이 반복된다면 수의사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체크해야 할 이상 증상
- 잦은 그루밍 또는 특정 부위만 집중 긁기
- 비듬, 각질, 피부 벗겨짐
- 둥근 탈모 부위
- 붉은 발진, 뾰루지, 딱지
- 발바닥, 귀, 꼬리 주변 상처
- 피부에서 냄새 남
- 과도한 털 빠짐
- 피부 두꺼워짐 또는 색소 침착
3. 고양이 피부 질환 종류별 특징
① 벼룩·진드기 감염 (외부 기생충성)
- 증상: 털 속에 작은 벌레, 발작적 긁기, 뒷다리·등 위주 탈모
- 치료법: 약욕, 기생충 제거제, 환경 소독
② 알레르기성 피부염
- 원인: 특정 단백질, 세제, 먼지, 꽃가루, 벼룩 등
- 증상: 붉은 반점, 귀 안 발진, 과도한 그루밍
- 치료법: 알레르기 유발 요인 제거, 처방 사료 전환, 항히스타민 사용
③ 진균성 피부염 (고양이 백선)
- 원인: 피부곰팡이 감염
- 증상: 둥근 탈모, 딱지, 전염성 ↑
- 치료법: 항진균제 투약, 격리 필요
④ 세균성 피부염
- 원인: 상처 부위 세균 감염
- 증상: 고름, 냄새, 붉은 부위
- 치료법: 항생제 투여, 소독, 원인 제거
⑤ 면역계 이상 피부염 (호산구육아종 등)
- 증상: 입술, 복부 등에 궤양 또는 발진
- 치료법: 스테로이드 등 면역 억제제 사용
4. 집에서 할 수 있는 기본 대처법
@ 초기에 시도해볼 수 있는 관리법:
- 고양이 전용 저자극 샴푸 사용
- 캣타워, 담요, 장난감 등 청결 관리
- 환경 알레르겐(먼지, 방향제, 세제 등) 제거
- 헤어볼, 알러지 관리용 처방식 시도
- 외부 기생충 예방약 매달 정기 사용
⚠️ 피부에 상처가 나거나 진물, 탈모 부위가 늘어나면 즉시 병원 진료가 우선입니다.
5.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잘못된 대응
X 사람용 연고 바르기
X 고양이의 상처를 비누로 씻기
X 털 밀기 (면역 저하 시 역효과)
X 유튜브 민간요법 적용
고양이는 약물 대사 능력이 사람과 다르기 때문에,
사람에게 안전한 약도 고양이에게는 독성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6. 피부 질환 예방을 위한 관리 팁
@ 예방법 체크리스트
- 월 1회 기생충 예방제 필수
- 고양이 전용 세제로 침구·화장실 청소
- 과도한 목욕 금지 (한 달 1회 이하 권장)
- 고단백·균형 잡힌 식단 유지
- 스트레스 최소화 (환경 변화, 소음 차단 등)
- 환절기 가습기 사용으로 피부 건조 예방
고양이의 피부는 건강을 말해줍니다
고양이 피부 질환은 초기에 대처하면
간단한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지만,
늦게 발견하면 장기 치료와 재발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오늘부터라도 고양이의 털과 피부를
주의 깊게 살피고 작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주세요.
우리 고양이의 건강한 피부와 행복한 삶을 위한 가장 쉬운 습관입니다.
'치즈냥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고양이의 사회화 시기와 훈련 팁 – 평생 성격을 좌우합니다 (2) | 2025.05.19 |
---|---|
🐾 고양이 슬개골 탈구 증상과 관리법 – 조기 진단이 핵심입니다 (1) | 2025.05.19 |
🐾 고양이와 함께하는 여행 준비물과 이동장 선택 팁 (5) | 2025.05.14 |
🐾 고양이 모래 종류별 비교와 추천 – 두부 모래 vs 벤토나이트, 어떤 게 좋을까? (2) | 2025.05.14 |
🐾 고양이 건강검진 주기와 항목별 검사 가이드 (1) | 2025.05.13 |